Think Korea’s high-tech world means business is all digital? Not quite. In Korean offices, some of the most important deals and trust-building still happen after hours—over drinks and grilled meat.
Here’s why the age-old tradition of “hoesik” continues to shape who gets heard, promoted, and trusted in Korean business culture.

What Is Hoesik—and Why Is It Still a Big Deal?
Hoesik (회식), meaning “company meal,” often involves multiple drinking rounds after work. While the food and soju matter, what really happens is emotional ice-breaking. Managers become mentors, coworkers become allies, and unspoken deals take shape over shared laughter—or complaints.
Drink, Bond, Trust: The Unwritten Contract
In a hierarchy-heavy society, shared drinks offer rare moments of vulnerability. Pouring drinks for each other—especially with two hands—isn’t just polite; it’s symbolic. You show humility, attentiveness, and inclusion. These moments build what Koreans call “정” (jeong)—emotional trust. It can be more powerful than a LinkedIn connection.
Modernization vs. Tradition: MZ Workers Rewrite the Rules
Younger employees want “dry hoesik” (non-alcoholic), daytime bonding, or hobby gatherings instead. A 2023 JobKorea survey found 64% of 20-somethings preferred no-alcohol events. Still, in many companies—especially government, banking, or traditional sectors—the old ways quietly persist.
Foreigners at the Table: Cultural Sensitivity Matters
For global professionals in Korea, hoesik can feel awkward—but it’s a key to access. You don’t have to drink, but knowing when to show up, how to pour respectfully, and when to exit gracefully can earn trust and fluency in unwritten business codes. Many multinationals now offer “Korean business culture training” for this reason.
📌 Summary
Hoesik is more than drinking—it’s where Korean business gets human. It builds trust not found in reports, connects teams beyond Slack, and often decides careers behind the scenes. Understanding this tradition helps you succeed—and connect—in Korea.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사회지만,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신뢰와 결정은 여전히 ‘술자리’에서 만들어집니다. 특히 구이와 소주가 함께 하는 회식은 단순한 식사가 아니라 관계 형성의 장입니다.
이 오래된 회식 문화가 어떻게 사람을 연결하고, 승진이나 프로젝트 기회를 만들어주는지 살펴봅니다.
회식이 왜 여전히 중요한가요?
회식은 문자 그대로 ‘회사 식사’지만, 실제로는 1차 식사 후 술집, 그리고 노래방까지 이어지는 다단계 문화입니다. 이 자리에서는 감정의 빙벽이 녹고, 직장 내 위계에서 벗어나 상사와 후배가 사람 대 사람으로 소통하게 됩니다. 웃음과 고충 속에서 무언의 합의가 생깁니다.
술, 유대, 신뢰: 말 없는 약속의 공간
위계가 뚜렷한 한국 사회에서, 술잔을 나누는 순간은 드문 취약함을 공유하는 시간입니다. 두 손으로 술을 따르고 받는 예절은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겸손과 존중의 표현이며 ‘정’을 쌓는 방식입니다. 이 정은 공식 문서보다 더 강력한 신뢰를 만들어줍니다.
전통 vs. 변화: MZ세대가 회식을 다시 쓰다
요즘 직원들은 술 없는 ‘건전 회식’, 낮 회식, 취미 기반 모임을 더 선호합니다. 2023년 잡코리아 설문에 따르면 20대의 64%가 비음주 회식을 원한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관공서, 금융, 보수적인 기업에서는 여전히 전통 회식이 조용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외국인은 어떻게 참여하면 좋을까?
외국인에게 회식은 낯설 수 있지만, 한국 비즈니스에 들어가는 문이기도 합니다. 억지로 마실 필요는 없지만, 언제 참석하고, 어떻게 두 손으로 술을 따르고, 언제 자연스럽게 빠지는지를 알면 비언어적 신뢰 코드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많은 글로벌 기업은 ‘한국 비즈니스 문화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요약
회식은 단순한 음주가 아니라, 한국 비즈니스가 ‘사람’을 보는 방식입니다. 보고서나 슬랙 메시지로는 만들 수 없는 신뢰와 유대가 이 자리에서 탄생하며, 때로는 커리어의 흐름까지 바뀝니다. 이 문화를 이해하고 현명하게 참여하는 것이 한국에서 성공하는 열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