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 noticed how Koreans rarely travel alone? From ski trips to beach getaways, group travel is still the default in Korea—and there’s a cultural reason for that.
While solo travel gains traction worldwide, many Koreans continue to favor group trips with friends, family, or coworkers. This preference goes far beyond practicality—it's deeply tied to Korea’s collectivist mindset, emotional bonding, and a hyper-connected digital lifestyle.

Why “We” Comes Before “Me” in Korean Travel
Korean culture values group harmony—whether at school, work, or on vacation. Traveling with others offers a chance to deepen social bonds, share meals, and build “collective memories.” For many Koreans, the highlight of travel isn’t just the destination, but the laughter, photos, and moments shared with others.
Group Travel Is Simply More Practical
Group trips help cut costs—hotels, guides, transportation fees are often split. In a country where vacations are short, pre-planned itineraries maximize time. Discounts for buses, pensions, and ski resorts make group travel not just fun, but efficient.
Safety and Comfort—Especially for Older Generations
For middle-aged or senior travelers, group travel feels safer. There’s always someone to handle logistics or translation. In unfamiliar settings, it’s also more comfortable to dine or explore with others than go it alone—especially in rural or traditional areas.
Creating Memories Together Matters
In Korea, trips often celebrate shared milestones—graduation, team-building, anniversaries. Group chats on KakaoTalk stay active long after the trip, filled with photo sharing and inside jokes. Even souvenirs are often bought in bulk—to give, not keep.
Digital Coordination via KakaoTalk
KakaoTalk plays a key role in planning. Group chats handle everything from polls to expense tracking, role assignments to restaurant bookings. This digital infrastructure makes it easy to organize and communicate as a unit.
Solo Travel Is Growing—But Still a Minority
Yes, solo travel (혼행) is rising among Gen Z and millennials. But according to a 2024 Korea Tourism Organization report, 61% still travel in groups, while only 23% go solo. It shows that the cultural preference for togetherness remains strong.
Conclusion: In Korea, Travel Is a Group Experience
Whether for comfort, cost, or connection, group travel reflects Korean values of community and shared joy. As solo travel slowly grows, the group trip still holds a cherished place in Korea’s travel culture.
한국에서는 왜 아직도 혼자 여행보다 단체 여행을 더 선호할까요? 단순한 취향이 아니라, 문화적 코드와 정서적 유대가 그 중심에 있습니다.
혼자 떠나는 여행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친구, 가족, 동료와 함께 떠나는 단체 여행이 주류입니다. 비용 효율성뿐 아니라, ‘우리’ 중심의 집단 문화와 디지털 소통 습관이 이를 자연스럽게 지지하고 있죠.

‘나’보다 ‘우리’가 중요한 한국적 여행 문화
학교, 직장, 일상 모두에서 조화를 중시하는 한국 문화는 여행에서도 그대로 나타납니다. 혼자보다는 함께, 장소보다 사람과의 경험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웃음, 사진, 대화 등 ‘같이 만든 기억’이 핵심입니다.
실용적인 이유: 단체 여행은 더 효율적이다
숙소, 차량, 가이드 등 여러 비용을 나누는 단체 여행은 경제적입니다. 짧은 휴가 속 알찬 일정을 짜기에 최적이며, 패키지나 단체 할인 혜택도 풍부합니다.
중장년층에게는 심리적·물리적 안정감
길 찾기나 언어가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누군가와 함께 있다는 것은 큰 안도감입니다. 시골이나 전통적인 식당에서는 혼자보다는 여럿이 자연스럽게 여겨지기도 합니다.
함께 만든 추억이 진짜 기념품
졸업, 회식, 가족 기념일 등 특정 시점에 의미를 부여하며 여행을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행 후에도 단톡방은 사진과 농담으로 활발히 유지되며, 기념품조차 나눠줄 사람을 생각하며 구매하는 문화입니다.
카카오톡이 만들어낸 디지털 여행 방식
여행 일정 조율, 비용 정산, 역할 분담까지 하나의 단톡방에서 실시간으로 해결됩니다. 이는 단체 여행을 더 간편하고 자연스럽게 만드는 배경이 됩니다.
혼행은 증가 중이지만 여전히 소수
혼자 여행하는 MZ세대가 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전체 여행객의 60% 이상이 단체 여행을 택하고 있습니다. 익숙함과 안정감을 중시하는 문화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죠.
결론: 한국에서 여행은 함께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비용, 안정감, 감정적 연결… 이 모든 요소들이 한국의 단체 여행 문화를 유지하게 합니다. 변화가 오고 있지만, 한국인의 여행 본질은 여전히 ‘함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