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Koreans Prefer Group Travel Over Solo Trips
While solo travel is growing globally, many Koreans still favor group travel—with family, friends, coworkers, or organized tour groups. This isn't just a travel choice, but a cultural one. Group travel in Korea is closely tied to values of community, convenience, and collective experience, making it a natural preference for many.
전 세계적으로 혼행이 유행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친구, 가족, 직장 동료, 혹은 패키지 여행 형태로 함께 떠나는 여행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단순한 여행 방식의 차이가 아닌, 공동체 중심의 정서와 실용적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문화적 선택입니다.Collective Culture and Shared Identity
Korean culture places high value on “우리” (we/us) over “나” (me). Group harmony is emphasized in school, work, and even leisure. Traveling together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inforce social bonds and shared belonging. For many, the joy of the trip comes not only from new places, but from laughing, eating, and exploring together.
한국 사회는 ‘나’보다 ‘우리’를 강조하는 집단주의적 특성이 강합니다. 학교, 직장, 가족 모두에서 조화와 공동체성이 중요시되며, 여행 역시 그러한 관계를 강화하는 기회로 인식됩니다. 새로운 장소를 보는 것보다, 함께 먹고 웃고 이동하는 그 ‘경험의 공유’가 여행의 본질인 경우가 많습니다.Cost Efficiency and Practicality
Traveling in groups helps reduce costs—accommodation, transportation, and guide fees can all be shared. Group rates often provide significant discounts, especially on domestic tour buses, pensions, or ski resort packages. Korea’s tight schedules and short holidays also make structured itineraries more appealing, and these are easier to manage in a group setting.
단체 여행은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현실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숙박비, 차량 렌트, 입장료, 가이드비 등을 나누면 훨씬 경제적입니다. 특히 국내 여행에서 버스 투어, 펜션, 스키장 패키지 등은 인원수에 따라 할인 폭이 크며, 짧은 연휴나 휴가에 맞춘 효율적인 일정도 단체일수록 짜기 쉽습니다.Social Comfort and Safety
For older adults or those unfamiliar with foreign travel, safety is a top concern. Group travel offers emotional and logistical security—someone else can handle the map, translation, and bookings. This is why package tours remain popular among middle-aged and senior travelers in Korea. Additionally, some prefer not to dine alone or appear “out of place,” especially in traditional or rural areas.
중장년층이나 해외 여행이 낯선 사람들에게는 ‘안전’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길 찾기, 언어, 숙소 예약 등의 부담을 나눌 수 있어 단체 여행이 훨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줍니다. 그래서 패키지 투어는 지금도 40~60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혼자 밥 먹는 것이 어색한 문화적 특성도 작용합니다.Creating and Preserving Shared Memories
In Korea, the idea of “shared memory” is a key part of travel. People often plan group trips around shared milestones—graduation, military discharge, company team-building, or family anniversaries. Post-travel, KakaoTalk group chats remain active for weeks as members share photos and reminisce. Even souvenirs are often bought in sets to hand out to colleagues or friends.
한국에서는 ‘같이 만든 추억’을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졸업, 제대, 회식, 기념일 같은 의미 있는 시점에 단체 여행을 계획하고, 여행 후에도 단톡방에서 사진을 공유하며 여운을 즐깁니다. 심지어 기념품도 주변에 나눠주기 위해 세트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KakaoTalk and Digital Coordination
Apps like KakaoTalk have made group travel coordination easy. From booking decisions to meal reservations, real-time polls and shared calendars allow for smoother group communication. A typical group chat includes discussion on roles (driver, cook, planner), expense tracking, and location sharing. This digital infrastructure supports Korea’s hyper-connected travel style.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앱은 단체 여행 준비를 훨씬 수월하게 만들어 줍니다. 일정 조율, 투표, 역할 분담, 비용 정산, 위치 공유까지 단톡방 하나에서 모두 가능합니다. ‘누가 운전하고’, ‘누가 숙소 예약했는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디지털 중심의 여행 방식과도 잘 맞아떨어집니다.Solo Travel Is Growing—but Slowly
Younger generations, especially in their 20s and 30s, are exploring solo travel. Influencers and vloggers have popularized “혼행” (honhaeng), but many still return to group travel for special occasions. According to a 2024 Korea Tourism Organization report, 61% of Koreans still travel in groups for holidays, with only 23% choosing solo travel. This suggests that while trends are shifting, the group-centered mindset remains dominant.
혼자 여행하는 ‘혼행’은 MZ세대를 중심으로 늘고 있지만, 명절이나 휴가철에는 여전히 다수가 단체 여행을 택합니다. 2024년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따르면, 전체 여행객 중 61%가 단체로 여행을 떠났으며, 혼행은 약 23%에 그쳤습니다. 트렌드는 변화 중이지만, ‘함께’라는 집단 중심 사고는 여전히 강력합니다.📌 Summary
Korean preference for group travel reflects deeper cultural values around community, efficiency, and emotional connection. For many, the joy of the journey is multiplied when it’s shared—through food, laughter, and photos. Whether for comfort or culture, the group trip remains a defining part of Korean travel life.
한국에서 단체 여행이 사랑받는 이유는 공동체 의식, 실용성, 정서적 유대라는 문화적 가치를 기반으로 합니다. 여행의 진정한 즐거움은 ‘함께 나눌 때 더 커진다’는 믿음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혼자가 아닌 ‘여럿이’라는 선택은 지금도 한국 여행 문화의 핵심입니다.This post is part of the KoreanHabits 100 Cultural Habits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