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Koreans Celebrate 100 Days for Babies and Relationships
In Korea, the 100-day mark is more than just a number—it’s a cultural celebration deeply rooted in tradition. Whether it’s a newborn reaching 100 days of life or a couple celebrating 100 days of dating, “baek-il” (백일) is seen as a symbolic moment of survival, commitment, and new beginnings. While it may seem unusual to outsiders, the 100-day milestone carries emotional weight and social significance across generations.
한국에서 ‘100일’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전통이 담긴 기념일입니다. 아기의 생존을 축하하거나, 연인의 사랑을 확인하는 ‘백일’은 생존, 약속, 시작을 의미합니다. 외국인에게는 낯설게 보일 수 있지만, 세대와 상황을 막론하고 이 숫자에 담긴 감정적·사회적 의미는 매우 큽니다.Baek-il for Babies: A Tradition of Survival
Historically, infant mortality rates in Korea were high due to poverty and limited medical access. If a baby survived the first 100 days, families would celebrate with rice cakes (baekseolgi), fruit, and small ceremonies to express gratitude to ancestors or deities. This tradition, known as “baek-il,” still survives today—albeit in modernized forms. Parents now mark the day with studio photoshoots, social media posts, and private gatherings with friends and family.
과거 한국은 유아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생후 100일은 ‘살아남은 기적’이자 축하의 순간이었습니다. 백설기나 과일을 차리고 조상이나 신에게 감사하는 백일잔치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요즘에는 가족 사진 촬영, SNS 공유, 소규모 모임 등으로 현대화된 형태로 나타납니다.100 Days of Love: Couple Milestones
Younger generations also observe “100-day anniversaries” in dating relationships. On this day, couples often exchange small gifts, cakes, and handwritten notes. Some plan special dates, wear matching outfits, or even commemorate the day with couple rings or customized photoshoots. The 100th day is seen as a key checkpoint that symbolizes early relationship stability—a milestone that precedes more established anniversaries like 200 or 365 days.
젊은 세대는 연애 시작 100일을 기념일로 생각합니다. 이 날에는 선물이나 케이크, 손편지를 주고받고, 특별한 데이트나 커플링, 커플 사진 촬영을 하기도 합니다. ‘100일’은 연애가 안정기에 접어들었음을 나타내는 기준점이자, 1주년(365일)으로 가기 전의 중요한 관문으로 여겨집니다.Numerical Symbolism in Korean Culture
The number 100 holds symbolic significance in Korean culture. It implies wholeness, completion, and survival. Just like the “first birthday” (돌) or the 60th birthday (환갑), 100 days mark an important cycle. The appeal of clean, round numbers (100, 1,000, etc.) is reflected in other areas of life too—like schools offering awards for perfect 100 scores or ceremonies for 100 days before college entrance exams (수능 D-100). These dates become emotional markers that signal effort, endurance, or transition.
한국 문화에서는 100이라는 숫자 자체에 완전함과 순환, 생존의 상징이 담겨 있습니다. 첫돌, 환갑처럼 백일도 인생의 작은 전환점으로 여겨지며, 숫자가 주는 정서적 안정감은 수능 D-100, 시험 100일 전 특강, 성적 100점 기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숫자는 노력과 인내, 변화의 시작을 의미합니다.Visual Culture and Social Sharing
With the rise of social media, 100-day celebrations have become highly visual. Baby photoshoots feature hanbok (traditional attire), flower wreaths, or soft toy-themed sets. Couples post pictures with heart-shaped cakes or matching keychains. Hashtags like #100일기념 (#100th_day_celebration) trend regularly on Korean platforms like Instagram and KakaoStory. This makes the 100-day celebration not only personal but also culturally performative.
SNS의 발달로 100일 기념은 시각적으로도 중요해졌습니다. 아기들은 한복이나 플라워 배경, 인형 콘셉트로 사진을 찍고, 커플들은 하트 케이크나 커플 아이템을 들고 인증샷을 올립니다. #100일기념 해시태그는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등에서 주기적으로 트렌드에 오르며, 개인의 기념일이자 사회적 퍼포먼스로 작용합니다.Extending the 100-Day Concept
Interestingly, the “100-day rule” is now applied to more than just babies or relationships. Some companies celebrate employees’ first 100 days, language learners mark their 100-day streaks, and dieters take photos on their 100th day of routine. The idea has evolved into a motivational tool—encouraging consistency and celebrating small but meaningful wins.
100일의 개념은 이제 아기나 연애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는 입사 100일을 기념하고, 외국어 학습자는 100일 연속 공부를 목표로 하며, 다이어터는 100일 루틴 달성 기념 사진을 찍습니다. 이 문화는 작지만 지속적인 성취를 응원하는 동기부여 도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Summary
In Korea, celebrating 100 days reflects cultural values around survival, progress, emotional connection, and symbolic milestones. Whether for a newborn, a new romance, or a personal goal, the “baek-il” moment marks a chapter worth remembering—and sharing.
한국에서 100일을 기념하는 문화는 생존과 성장, 정서적 연결, 상징적 이정표를 중시하는 정서를 잘 보여줍니다. 아기의 백일이든, 커플의 기념일이든, 개인의 목표든 ‘백일’은 기억하고 나눌 가치가 있는 순간입니다.This post is part of the KoreanHabits 100 Cultural Habits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