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outsiders, it may sound strange when a Korean says “our mom” or “our house” even when referring to something clearly personal. But in Korea, that’s not just normal—it’s deeply meaningful.
The word “우리” (uri), meaning “our,” reveals how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rioritize connection over ownership.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his tiny word carries the weight of family bonds, humility, and a collectivist worldview.

Why “Our” Feels More Natural Than “My”
In Korea, saying “our mom” or “our house” doesn’t mean shared ownership—it reflects emotional ties and social unity. The collectivist roots of Korean society emphasize relationships and togetherness over individual possession. “Uri” makes everyday speech more inclusive and warm, signaling that what’s mine emotionally belongs to the group as well.
The Emotional Nuance of “Uri”
Saying “my mom” (내 엄마) in Korean can sound cold or possessive, while “our mom” (우리 엄마) feels affectionate and familiar. The language itself supports social harmony by softening individual claims. Even businesses adopt “우리 회사” (our company) to build team spirit and shared pride.
Everyday Expressions of Togetherness
You’ll often hear Koreans say “our school” (우리 학교), “our puppy” (우리 강아지), or even “our wedding” (우리 결혼식)—even when it’s clearly personal. These phrases reflect how embedded the sense of connection is in everyday Korean speech. The phrase “우리 아들 결혼해요” (our son is getting married) usually means “my son,” but it feels warmer and less self-centered.
Language Learned in Childhood
From a young age, Korean children hear phrases like “Let’s go to our house” or “Our mom is waiting.” These expressions become natural ways of seeing the world—not as individuals standing alone, but as part of a unit. Over time, “uri” becomes more than grammar—it becomes emotional instinct.
When “My” Is Actually Used
Koreans do use “내” (my) when it’s necessary—especially in legal, medical, or financial settings. For example, “my ID” (내 신분증) or “my account number” (내 계좌번호) must be specific. But in casual conversation, “uri” continues to feel more natural, friendly, and appropriate.
How Foreigners Perceive It
At first, many non-Koreans find this use of “our” puzzling. But once they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 most come to appreciate its warmth. It’s a linguistic window into Korean values—where community matters more than claiming ownership.
Conclusion: “Uri” as a Cultural Compass
The word “우리” may be small, but it speaks volumes. It’s not about what belongs to you—it’s about who you’re connected with. For Koreans, “our” is often a better way to say “I care.”
외국인의 귀에는 “우리 엄마”, “우리 집”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너무도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우리”라는 단어는 한국어에서 단순한 복수 소유가 아니라, 정서적 유대와 공동체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반복적으로 들으며 체화된 이 표현은, 한국인의 삶 전반에 ‘연결’이라는 문화를 자연스럽게 녹여냅니다.
왜 “내”보다 “우리”가 더 자연스러울까?
“우리 엄마”, “우리 집”은 엄밀히 따지면 개인 소유지만, 정서적으로는 가족과의 연결을 중시하는 표현입니다. 공동체 중심의 한국 문화에서는 나보다 ‘우리’가 먼저이며, 이 표현을 통해 말에 따뜻함과 배려가 스며듭니다.
말 속에 깃든 정서적 온기
“내 엄마”는 어딘가 차갑거나 소유욕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우리 엄마”는 훨씬 부드럽고 포용적인 느낌을 줍니다. 기업에서도 직원 간 유대를 위해 “우리 회사”라는 표현을 자연스럽게 사용합니다.
일상 속 ‘우리’ 표현
“우리 학교”, “우리 반”, “우리 고양이”처럼 ‘우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쓰입니다. “우리 아들 결혼해요”는 사실 ‘내 아들’을 의미하지만, 이렇게 표현함으로써 더 따뜻하고 덜 이기적으로 들립니다.
어릴 때부터 체화된 언어
아이 때부터 “우리 집 가자”, “우리 엄마 기다리셔” 같은 표현을 반복적으로 듣고 자라며, 한국인은 관계 중심 언어를 자연스럽게 내면화합니다. “우리”는 문법을 넘어 정서의 언어로 자리 잡습니다.
“내”를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 필요에 따라 “내 신분증”, “내 책임”처럼 ‘내’라는 표현이 사용됩니다. 특히 법적, 재정적 맥락에서 소유가 명확해야 할 때는 필수입니다. 그러나 일상 대화에서는 여전히 “우리”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외국인의 반응
처음에는 “우리 엄마”라는 표현에 혼란스러워하는 외국인도 많지만, 그 배경을 알게 되면 대부분 따뜻한 문화로 받아들입니다. 단어 하나에 담긴 한국인의 감성과 공동체 정신은 그 자체로 문화적 창입니다.
결론: ‘우리’는 연결을 말한다
“우리”는 소유를 넘어 정서와 문화를 담은 단어입니다. 한국인에게 “우리”는 ‘내가 함께하고 싶은 존재’라는 표현이자,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