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Koreans Still Dry Clothes on the Balcony—Even with a Dryer

Even in ultra-modern Korean apartments equipped with high-end dryers, you’ll often spot laundry hanging out on the balcony.

This may seem old-fashioned, but for many Koreans, drying clothes in sunlight isn't just about drying—it's about culture, cleanliness, and common sense. Here's why the balcony remains king in Korea’s laundry routine.

Clothes drying on a rack in the balcony of a Korean apartment in sunlight

Why do Koreans hang laundry even with dryers?

Drying clothes on balconies is a deep-rooted habit from a time when most homes lacked dryers. Despite modernization, many still find sun-drying more “natural.” Older generations especially believe that sunlight purifies fabrics. It’s also a visible part of Korean apartment landscapes, from modest flats to luxury towers.

Does the sun really clean better?

Yes—at least that’s the belief. Ultraviolet rays from the sun can help kill bacteria, neutralize odors, and give laundry that fresh “outside” scent. For items like towels and underwear, many Koreans trust sunlight over a machine. This preference is echoed in marketing too, with products advertising a “sun-dried feel.”

What about cost and energy use?

Electricity is expensive in Korea, and many households are cost-conscious. Dryers are reserved for humid or rainy days. Natural sunlight, on the other hand, is free and eco-friendly. A 2023 survey found that over two-thirds of Korean households still use balcony drying—even if they own a dryer.

Is it about space and apartment design?

Yes. Korean apartments usually come with a built-in balcony or utility space designed for laundry. These areas have ventilation, built-in drying racks, and floor drains. Drying indoors or on rooftops is less common—balcony drying is considered more practical and visually tidy in Korea’s dense cities.

Are there concerns about using dryers?

Definitely. People worry about clothes shrinking, damage to delicate fabrics, or smells from indoor drying. Sunlight gives visual confirmation that laundry is dry and aired out. Many parents also prefer sun-drying for their kids’ clothes, believing it to be safer and healthier than machine heat.

Conclusion: A habit rooted in culture and logic

Korean laundry culture proves that not all modern conveniences replace tradition. The balcony remains a symbol of practicality, health, and heritage—proving that some habits just make sense.


최신 건조기가 있어도, 한국 아파트 베란다엔 여전히 빨래가 널려 있어요.

다소 오래된 습관처럼 보이지만, 햇빛 건조는 한국인에게 단순한 '건조' 그 이상이에요. 문화, 청결, 경제적 이유가 어우러진 이 일상 속 습관을 살펴볼게요.

햇빛이 비치는 한국 아파트 베란다에 빨래를 널어 말리는 모습

왜 건조기가 있어도 베란다에 빨래를 말릴까?

과거에는 건조기가 거의 없었고, 자연 건조가 당연했어요. 지금도 햇빛에 말리는 게 더 자연스럽고 위생적이라는 인식이 남아 있죠. 고층 아파트에서도 베란다 빨래는 흔한 풍경이에요. 특히 햇빛이 옷을 정화해준다는 믿음은 여전히 강합니다.

정말 햇빛이 더 깨끗하게 말려줄까?

자외선은 세균을 죽이고 냄새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어요. 수건이나 속옷, 침구류는 햇볕에 말리는 게 더 믿음직하다는 의견이 많아요. '햇빛에 말린 듯한 신선함'을 내세우는 광고도 많죠. 눈으로 확인되는 자연 건조는 마음의 안심을 줍니다.

전기세도 이유 중 하나일까?

맞아요. 한국은 전기요금이 꽤 높아서 건조기 사용을 아끼는 집이 많아요. 비 오는 날이나 겨울철 습할 때만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평소엔 햇빛이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선택이죠. 2023년 조사에서도, 건조기를 갖고 있어도 베란다 빨래를 지속하는 가구가 68%에 달했어요.

아파트 구조도 한몫할까?

한국 아파트는 대부분 세탁물을 위한 베란다 공간이 따로 있어요. 통풍 잘 되고 배수구도 있어서 빨래 말리기에 딱이죠. 공동 옥상보다는 개인 공간에서 말리는 게 예의라는 문화도 있어요. 실용성과 도시 미관 모두를 고려한 구조예요.

건조기 사용, 불편함은 없을까?

있죠. 옷이 줄어들거나 망가질 수 있고, 실내 냄새가 옷에 밸 수도 있어요. 햇빛에 말리면 확실히 말랐는지 눈으로 확인도 가능하고, 야외 냄새도 좋죠. 아이 옷은 햇빛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부모도 많아요. 이런 이유들이 자연 건조 선호를 이어가게 합니다.

결론: 한국식 합리적 일상 습관

베란다 빨래는 단순한 옛 습관이 아니에요. 전통, 실용, 건강을 고려한 한국인만의 스마트한 선택이죠. 건조기가 있어도 햇빛을 택하는 이유, 이제 이해되셨죠?


Previous Post Next Post